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역대 기록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1. 개요
2. 역대 기록
2.1. 역대 우승팀 및 순위
2.1.1. 우승 횟수
2.2. 역대 입상자 및 MVP
2.3. 역대 결승전
2.4. 역대 펜타킬
2.5. 역대 리그 별 출전 팀
2.6. 역대 우승팀 대회 승률 순위
2.7. 역대 우승팀 분당 골드 격차
2.8. 역대 누적킬수 TOP10
2.9. 역대 솔로킬 횟수
2.10. 역대 6회 이상 출전 선수
2.11. 역대 6회 이상 출전 팀
2.12. 역대 그룹•스위스 스테이지 전승/전패 팀
2.13. 역대 풀세트 다전제
2.14.1. 역대 킬 스코어 퍼펙트 경기
2.15. 경기 관련 기록
2.15.1. 역대 최장 다전제 순위
2.15.2. 역대 최단 다전제 순위
2.16. 역대 월즈 챔피언 밴픽 기록



1. 개요[편집]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의 역대 기록에 대한 문서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819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81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2. 역대 기록[편집]




2.1. 역대 우승팀 및 순위[편집]


||


시즌우승준우승3, 4위[1]
2011파일:590px-Fnatic_full_lightmode.png
Fnatic(EU)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Aaalogo.png
against All authority(EU)
파일:TSM.png
Team SoloMid(NA)
파일:Epik_Gamerlogo_square.png
Epik Gamer(NA)
2012파일:Taipei_Assassinslogo_square.png
Taipei Assassins(GPL)[2]
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
Azubu Frost(LCK)
파일:300px-Moscow_Fivelogo_square.png
Moscow Five(EU)
파일:600px-CLG_Europelogo_square.png
CLG Europe(EU)
2013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LCK)[3]
파일:7130f0fe8eed4f9d6acb63cf233f94f4.png
Royal Club(LPL)
파일:attachment/Najin_Black_Sword_logo.png
NaJin Black Sword(LCK)
파일:590px-Fnatic_full_lightmode.png
Fnatic(LCS EU)
2014파일:Samsung white.png
Samsung Galaxy White(LCK)
파일:Royal_Clublogo_square.png
Star Horn Royal Club(LPL)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Samsung_Bluelogo_square.png
Samsung Galaxy Blue(LCK)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OMGlogo300.png
Oh My God(LPL)
2015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LCK)
파일:external/oi67.tinypic.com/2qams1e.png
KOO Tigers(LCK)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Origenlogo.png
Origen(LCS EU)
파일:590px-Fnatic_full_lightmode.png
Fnatic(LCS EU)
2016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LCK)
파일: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 로고.png
Samsung Galaxy(LCK)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ROX_Tigers.png
ROX Tigers(LCK)
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H2K-new-logo.png
H2k Gaming(LCS EU)
2017파일:삼성 갤럭시(프로게임단) 로고.png
Samsung Galaxy(LCK)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LCK)
파일:RNG 로고 2017.svg
Royal Never Give Up(LPL)
파일:external/d210291ab9f7bdac17b0762c548995bc948b09a029e057e326383751676d7435.png
Team WE(LPL)
2018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Invictus Gaming(LPL)
파일:Fnatic.png
Fnatic(LCS EU)
파일:Cloud9 아이콘.svg
Cloud9(LCS NA)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300px-G2_logo.png?version=e9f291665a9d54c734eb89e4255cdf46.png
G2 Esports(LCS EU)
2019파일:FPX_LoL_new_logo.png
FunPlus Phoenix(LPL)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Esports(LEC)
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
SK telecom T1(LCK)
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
Invictus Gaming(LPL)
2020파일:DWG_square.png
DAMWON Gaming(LCK)
파일:Suninglogo_square.png
Suning(LPL)
파일:TES 로고 2019.svg
Top Esports(LPL)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Esports(LEC)
2021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ward Gaming(LPL)
파일:DWG KIA 엠블럼.svg
DWG KIA(LCK)
파일:T1 LoL 로고.svg
T1(LCK)
파일:Gen.G 로고.svg
Gen.G (LCK)
2022파일:DRX 로고(2020~2022).svg
DRX(LCK)
파일:T1 LoL 로고.svg
T1(LCK)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LPL)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G (LCK)
2023파일:T1 LoL 로고.svg
T1(LCK)
파일:웨이보 게이밍 로고 화이트.svg
Weibo Gaming FAW Audi(LPL)
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
JDG Intel Esports Club(LPL)
파일:Bilibili Gaming 로고 2022.svg
Bilibili Gaming Pingan Bank (LPL)


지역우승준우승4강8강[4]
파일:LCK 로고.svg
(한국)
8회6회7팀12팀
파일:LPL_20202.png
(중국)
3회4회8팀13팀
파일:LEC.png
(유럽)
1회3회8팀9팀
파일:PCS Square.png
(태평양 연안)[5]
1회0회0팀5팀
파일:LCS_text.png
(북미)
0회0회3팀8팀
파일:LCL2020_logo.png
(독립국가연합)
0회0회0팀1팀

2.1.1. 우승 횟수[편집]


리그우승준우승우승 연도준우승 연도
T1LCK422013, 2015, 2016, 20232017, 2022
Gen.GLCK212014, 20172016
FnaticLEC1120112018
Dplus KIALCK1120202021
Taipei J TeamPCS[6]102012-
Invictus GamingLPL102018-
FunPlus PhoenixLPL102019-
Edward Gaming HycanLPL102021-
DRXLCK102022-
Royal Club[7]LPL[8]02-2013, 2014
Weibo Gaming FAW AudiLPL02-2020, 2023
against All authorityLEC[9]01-2011
CJ EntusLCK01-2012
Hanwha Life EsportsLCK01-2015
G2 EsportsLEC01-2019

2.2. 역대 입상자 및 MVP[편집]


||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MVP
||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white,#1f2023><rowbgcolor=black><rowcolor=white> '''시즌''' || '''이름 (ID)''' || '''국적''' || '''포지션''' || '''소속''' || ||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시즌1]] || [[리그 오브 레전드/유명인/유럽#s-3|마치에이[br]라투슈니아크]][br](Shushei) ||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100%]]
]] || [[미드(리그 오브 레전드)|[[파일:MID_icon_black.png|width=30&theme=light]][[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30&theme=dark]]]]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FNC]] || ||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2014]] || [[조세형(e스포츠)|조세형]][br](Mata)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 [[서포터(리그 오브 레전드)|[[파일:SUP_icon_black.png|width=30&theme=light]][[파일:롤아이콘-포지션-서포터-White.svg|width=30&theme=dark]]]] || [[삼성 갤럭시 화이트|SSW]] || ||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2015]] || [[장경환]][br](MaRin)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 [[탑(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OP_icon_black.png|width=30&theme=light]][[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30&theme=dark]]]] ||<|2> [[T1/리그 오브 레전드|SKT]] || || [[리그 오브 레전드 2016 월드 챔피언십|2016]] || [[이상혁]][br](Faker)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 [[미드(리그 오브 레전드)|[[파일:MID_icon_black.png|width=30&theme=light]][[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30&theme=dark]]]] || ||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2017]] || [[박재혁(1998)|박재혁]][br](Ruler)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 [[바텀(리그 오브 레전드)|[[파일:ADC_icon_black.png|width=30&theme=light]][[파일:롤아이콘-포지션-원거리-White.svg|width=30&theme=dark]]]] || [[Gen.G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SSG]] || ||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2018]] || [[가오전닝]][br](Ning)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width=100%]]
]] ||<|3> [[정글(리그 오브 레전드)|[[파일:JGL_icon_black.png|width=30&theme=light]][[파일:롤아이콘-포지션-정글-White.svg|width=30&theme=dark]]]] ||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IG]] || ||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2019]] || [[가오톈량]] [br](Tian) || [[[중국|
[[파일:중국 국기.svg|width=100%]]
]] || [[FPX/리그 오브 레전드|FPX]] || ||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2020]] || [[김건부]][br](Canyon)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DWG]] || ||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2021]] || [[이예찬]][br](Scout)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 [[미드(리그 오브 레전드)|[[파일:MID_icon_black.png|width=30&theme=light]][[파일:롤아이콘-포지션-미드-White.svg|width=30&theme=dark]]]] || [[Edward Gaming Hycan|EDG]] || ||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2022]] || [[황성훈]][br](Kingen)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2> [[탑(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OP_icon_black.png|width=30&theme=light]][[파일:롤아이콘-포지션-탑-White.svg|width=30&theme=dark]]]] || [[DRX/리그 오브 레전드|DRX]] || ||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2023]] || [[최우제]][br](Zeus) ||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100%]]
]] || [[T1/리그 오브 레전드|T1]] || ||<-5><bgcolor=black><color=white> {{{-2 시즌2, 시즌3는 MVP 미선정[br]시즌1~2016 시즌까지 통합 MVP, 이후 결승 MVP}}} ||





2.3. 역대 결승전[편집]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역대 결승전
||




2.4. 역대 펜타킬[편집]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휘장 화이트.svg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펜타킬 달성 일람
||
[ 펼치기 · 접기 ]

#373a3c,#ddd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black><tablebgcolor=white,#1f2023><rowbgcolor=black><rowcolor=white><colbgcolor=black><colcolor=white> '''순서''' || '''이름(ID)''' || '''당시 소속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팀''' || '''일자''' || '''경기''' || '''비고''' || || '''1''' || [[구승빈]][br](imp) || [[삼성 갤럭시 화이트|[[파일:Samsung white.png|width=50]]]] ||<|3> [[파일:Bot_icon.png|width=40]][br]BOT || [[베인(리그 오브 레전드)|[[파일:vayne1_portrait.png|width=50]]]] || [[Dark Passage/리그 오브 레전드|[[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Darkpassageyeni.png|width=50]]]] || 2014.09.19 ||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16강/A조#s-2.1.5|2014 16강 A조 5경기]] || [[http://www.youtube.com/watch?v=Xq6avVtqS8w|영상]]
[ 정보 ]
오리아나 - 징크스 - 카직스 - 쓰레쉬 - 알리스타 순서로 킬.
Worlds 최초 겸 LCK 팀 최초 펜타킬.
|| || '''2''' || [[마르틴 라르손]][br](Rekkles)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파일:380px-Fnatic_orig_no_text.png|width=50]]]] || [[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파일:lucian_portrait.png|width=50]]]] || [[Phoenix1/리그 오브 레전드|[[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123px-LMQ_logo_150.png|width=50]]]] || 2014.09.27 ||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16강/C조#s-2.2.2|2014 16강 C조 8경기]] || [[http://www.youtube.com/watch?v=i0hZkNYK-_U|영상]]
[ 정보 ]
마오카이 - 트리스타나 - 쓰레쉬 - 자르반 4세 - 피즈 순서로 킬.
LCS EU 팀 최초 펜타킬.
|| || '''3''' || [[구승빈]][br](imp) || [[삼성 갤럭시 화이트|[[파일:Samsung white.png|width=50]]]] || [[트위치(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witch_portrait.png|width=50]]]] || [[Team SoloMid/리그 오브 레전드|[[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600px-Team_SoloMidlogo_square.png|width=50]]]] || 2014.10.03 || [[리그 오브 레전드 2014 월드 챔피언십/8강#s-2.4|2014 8강 A조 4세트]] || [[http://www.youtube.com/watch?v=0LcX0B5FHbQ|영상]]
[ 정보 ]
문도 박사 - 쓰레쉬 - 카직스 - 루시안 - 아리 순서.
Worlds 최초 겸 LCK 팀 최초 한 대회 2회 펜타킬.
|| || '''4''' || [[FlyQuest/리그 오브 레전드#s-6.1|안 레]][br](Balls) || [[Cloud9/리그 오브 레전드|[[파일:Cloud9 로고.svg|width=50]]]] || [[파일:Top_icon.png|width=40]][br]TOP || [[다리우스(리그 오브 레전드)|[[파일:darius1_portrait.png|width=50]]]]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파일:380px-Fnatic_orig_no_text.png|width=50]]]] || 2015.10.04 ||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16강/B조#s-2.6|2015 16강 B조 6경기]] || [[http://tvcast.naver.com/v/553605|영상]]
[ 정보 ]
야스오 - 오리아나 - 그라가스 - 알리스타 - 시비르 순서로 킬.
마지막에 출혈 피해로 죽은 시비르를 제외한 넷은 단두대로 연속 처형.
Worlds 최초 TOP 펜타킬 겸 LCS NA 팀 최초 펜타킬.
|| || '''5''' || [[Flash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s-4.4|슝원안]][br](NL) || [[Flash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lash_wolves_logo.png|width=50]]]] || [[파일:Bot_icon.png|width=40]][br]BOT || [[징크스(리그 오브 레전드)|[[파일:jinx_portrait.png|width=50]]]] || [[Counter Logic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파일:Counter_Logic_Gaminglogo_square.png|width=50]]]] || 2015.10.08 ||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16강/A조#s-4.4|2015 16강 A조 10경기]] || [[http://tvcast.naver.com/v/560383|영상]]
[ 정보 ]
빅토르 - 알리스타 - 리 신 - 에코 - 트리스타나 순서로 킬.
LMS 팀 최초 펜타킬.
|| || '''6''' || [[폴 부아예]][br](Soaz) || [[Astrali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external/gambit-gaming.com/20150525131203-7110.png|width=50]]]] || [[파일:Top_icon.png|width=40]][br]TOP || [[다리우스(리그 오브 레전드)|[[파일:darius1_portrait.png|width=50]]]] || [[Flash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lash_wolves_logo.png|width=50]]]] || 2015.10.16 || [[리그 오브 레전드 2015 월드 챔피언십/8강#s-4.1.1|2015 8강 C조 1세트]] || [[http://tvcast.naver.com/v/569607|영상]]
[ 정보 ]
렉사이 - 르블랑 - 모르가나 - 나르 - 징크스 순서로 킬.
LCS EU 팀 최초 TOP 펜타킬 겸 Worlds 최초로 한 대회에서 동일한 챔피언이 성공한 2번째 펜타킬.
|| || '''7''' || [[Movistar R7#s-5.4|마티아스 무쏘]][br](WhiteLotus) || [[Movistar R7|[[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Lyon_Gaminglogo_square.png|width=50]]]] ||<|5> [[파일:Bot_icon.png|width=40]][br]BOT || [[칼리스타|[[파일:kalista_portrait.png|width=50]]]] || [[Gambit Esport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Gambit Esports.png|width=50]]]] || 2017.09.24 ||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그룹#s-2.2.4|2017 플레이-인 스테이지[br]1라운드 10경기]] || [[https://clips.twitch.tv/SleepyWittyCroissantDxCat|영상]]
[ 정보 ]
그라가스 - 알리스타 - 잭스 - 카시오페아 - 진 순서로 킬.
구 와일드카드 최초 겸 LNN 팀 최초 겸 플레이-인 스테이지 최초 펜타킬.
|| || '''8''' || [[Fenerbahçe Espor#s-6.6|에게 아자르 코파랄]][br](Padden) || [[Fenerbahçe Espor|[[파일:1907 Fenerbahçe Esports.png|width=50]]]] || [[코그모|[[파일:kogmaw_portrait.png|width=50]]]] || [[PENTAGRAM(LJL)|[[파일:Rampage.png|width=50]]]] || 2017.09.25 || [[리그 오브 레전드 2017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그룹#s-2.3.6|2017 플레이-인 스테이지[br]1라운드 18경기]] || [[https://youtu.be/Y6W95I7xQXQ?t=39m51s|영상]]
[ 정보 ]
렉사이 - 나르 - 트리스타나 - 알리스타 - 코르키 순서로 킬.
TCL 팀의 최초 펜타킬.
|| || '''9''' || [[INFINITY(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s-5.2|레나토 갈레고스]][br](Renyu) || [[INFINITY(프로게임단)/리그 오브 레전드|[[파일:300px-Infinity_eSports_CRlogo_square.png|width=50]]]] ||<|2> [[카이사|[[파일:kaisa_portrait.png|width=50]]]] || [[Dire Wolve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600px-Dire_Wolveslogo_square.png|width=50]]]] || 2018.10.04 ||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그룹#s-2.4.4|2018 플레이-인 스테이지[br]그룹 22경기]] || [[https://www.twitch.tv/videos/318208300?t=03h55m52s|영상]]
[ 정보 ]
리산드라 - 스카너 - 바루스 - 아트록스 - 탐 켄치 순서로 킬.
|| || '''10''' || [[SuperMassive Blaze/리그 오브 레전드#s-4.2|베르카이 아슈쿠준]][br](Zeitnot) || [[SuperMassive Blaze/리그 오브 레전드|[[파일:Bahçeşehir SuperMassive.png|width=50]]]] || [[G-Rex|[[파일:300px-G-Rexlogo_square.png|width=50]]]] || 2018.10.07 || [[리그 오브 레전드 2018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녹아웃#s-2.2.2.1|2018 플레이-인 스테이지[br]녹아웃 4경기 1세트]] || [[https://www.twitch.tv/videos/319420633?t=04h46m30s|영상]]
[ 정보 ]
그라가스 - 알리스타 - 오른 - 자야 - 카시오페아 순서로 킬.
|| || '''11''' || [[박도현(2000)|박도현]][br](Viper) || [[Griffin/리그 오브 레전드|[[파일:Griffin_new_logo.png|width=50]]]] || [[자야(리그 오브 레전드)|[[파일:xayah_portrait.png|width=50]]]] || [[Invictus Gaming/리그 오브 레전드|[[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width=50&theme=light]][[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width=50&theme=dark]]]] || 2019.10.26 || [[리그 오브 레전드 2019 월드 챔피언십/8강#s-4.1.1.3|2019 8강 1경기 3세트]] || [[https://youtu.be/y_g2LmUDqwA?t=240|영상]]
[ 정보 ]
블라디미르 - 키아나 - 카이사 - 모르가나 - 리 신 순서로 킬.
|| || '''12''' || [[천쩌빈]][br](Bin) || [[Weibo Gaming FAW Audi|[[파일:Suninglogo_square.png|width=50]]]] ||<|2> [[파일:Top_icon.png|width=40]][br]TOP || [[피오라(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iora_portrait.png|width=50]]]] ||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파일:DAMWON.png|width=60]]]] || 2020.10.31 || [[리그 오브 레전드 2020 월드 챔피언십/결승#s-6.2|2020 결승 2세트]] || [[https://youtu.be/xYx0zXLq7hk?t=462|영상]]
[ 정보 ]
오른 - 이블린 - 루시안 - 아펠리오스 - 쓰레쉬 순서로 킬.
LPL 팀 최초 겸 Worlds 최초 결승전 펜타킬.
|| || '''13''' || [[김동하(프로게이머)|김동하]][br](Khan) || [[Dplus KIA/리그 오브 레전드|[[파일:DWG KIA 엠블럼.svg|height=40]]]] || [[루시안(리그 오브 레전드)|[[파일:lucian_portrait.png|width=50]]]] || [[Rogue/리그 오브 레전드|[[파일:Rogue 로고.svg|width=50]]]] || 2021.10.15 || [[리그 오브 레전드 2021 월드 챔피언십/그룹 스테이지/A조#s-3.2.4|2021 그룹 스테이지[br]A조 10경기]] || [[https://youtu.be/2Z50cU6iytA&t=392|영상]]
[ 정보 ]
라이즈 - 레오나 - 제이스 - 미스 포츈 - 올라프 순서로 킬.
LCK 팀 최초 TOP 펜타킬
|| || '''14''' || [[엘리아스 립]][br](Upset) || [[Fnatic/리그 오브 레전드|[[파일:Fnatic 로고.svg|width=50]]]] ||<|5> [[파일:Bot_icon.png|width=40]][br]BOT || [[칼리스타|[[파일:kalista_portrait.png|width=50]]]] || [[Chiefs Esports Club/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he_Chiefs_eSports_Clublogo_square.png|width=50]]]] || 2022.09.30 ||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그룹/A조#s-3.1.3|2022 플레이-인 스테이지[br]1라운드 5경기]] || [[https://twitter.com/lolesports/status/1575673253233917953|영상]]
[ 정보 ]
스웨인 - 트리스타나 - 그레이브즈 - 브라움 - 그웬 순서로 킬.
|| || '''15''' || [[응우옌반후이]][br](Shogun) || [[Saigon Buffalo|[[파일:Saigon_Buffalo_logo.png|width=50]]]] || [[아펠리오스|[[파일:aphelios_portrait.png|width=50]]]] || [[Isuru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Isurus Gaming.png|width=50]]]] || 2022.10.01 || [[리그 오브 레전드 2022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그룹/B조#s-3.2.1.2|2022 플레이-인 스테이지[br]1라운드 5경기]] || [[https://twitter.com/lolesports/status/1575983576838971392|영상]]
[ 정보 ]
세트 - 칼리스타 - 르블랑 - 질리언 - 헤카림 순서로 킬.
|| || '''16''' || [[문검수]][br](Route) || [[LOUD/리그 오브 레전드|[[파일:LOUD 로고.svg|width=50]]]] || [[카이사|[[파일:kaisa_portrait.png|width=50]]]] || [[GAM Esports|[[파일:GAM Esports 로고.svg|width=50]]]] || 2023.10.10 ||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A조#s-3.2.1|2023 플레이-인 스테이지[br]A조 2경기 1세트]] || [[https://twitter.com/lolesports/status/1711677967141912622|영상]]
[ 정보 ]
럼블 - 오리아나 - 자르반 4세 - 노틸러스 - 자야 순서로 킬.
|| || '''17''' || [[응우옌린브엉]][br](Slayder) || [[GAM Esports|[[파일:GAM Esports 로고.svg|width=50]]]] ||<|2> [[자야(리그 오브 레전드)|[[파일:xayah_portrait.png|width=50]]]] || [[Movistar R7|[[파일:Movistar R7 로고.svg|width=50]]]] || 2023.10.13 ||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A조#s-3.4.2|2023 플레이-인 스테이지[br]A조 패자전 2세트]] || [[https://twitter.com/lolesports/status/1712747699118936318|영상]]
[ 정보 ]
크산테 - 리 신 - 라칸 - 카이사 - 아리 순서로 킬.
|| || '''18''' || [[유쉬 마루시치]][br](Crownie) || [[Team BDS/리그 오브 레전드|[[파일:Team BDS 아이콘.svg|width=50]]]] || [[DetonatioN FocusMe/리그 오브 레전드|[[파일:DFM 로고 2023.svg|width=50]]]] || 2023.10.13 || [[리그 오브 레전드 2023 월드 챔피언십/플레이-인 스테이지/B조#s-3.4.2|2023 플레이-인 스테이지[br]B조 패자전 2세트]] || [[https://twitter.com/lolesports/status/1712772461409063165|영상]]
[ 정보 ]
블리츠크랭크 - 뽀삐 - 아이번 - 카이사 - 트리스타나 순서로 킬.
||



역대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서 일어난 펜타킬은 총 18회이며, 포지션별로 나누면 BOT 14회에 TOP 4회이다. BOT 펜타킬이 2018 시즌 2연속 카이사 이전까지 전부 다른 챔피언들로 기록된 반면, TOP 펜타킬은 2015 월즈에서만 다리우스가 두 번 달성했다. 희한하게도 MID 펜타킬이 없는데, 전반적인 프로 리그에서 MID 펜타킬이 많고 TOP 펜타킬이 적은 편임을 감안하면 2015 월즈 당시 다리우스가 얼마나 강력했는지 잘 알 수 있다.

이외에도 중간의 텀이 길어서 게임 시스템상으로 펜타킬로 뜨지는 않았지만 2014년 9월 26일 Samsung Galaxy Blue의 BOT Deft가 16강 LMQ와의 1차전에서 코르키로 3킬[12]후 2킬[13]5연속 킬을 하는 기록을 세운 적이 있다.

사실 시즌 3 결승전에서 Piglet의 이즈리얼이 최초 펜타킬 기록을 세울 뻔했지만, Bengi의 리 신이 와드 방호로 적을 끝까지 쫒아가 막타를 스틸하는 바람에 실패로 돌아갔었다. 이후 4시즌이 지난 뒤 나온 7호 펜타킬 상황에서 Jirall의 카밀이 대놓고 양보한 것[14]과 비교해 보면 그야말로 극과 극.

6호 펜타킬 이후 4번의 펜타킬은 모두 플레이-인에서 기록했지만 Griffin의 BOT Viper가 IG와의 8강전 3세트에서 펜타킬을 기록해 4년만에 플레이-인 스테이지가 아닌 무대에서 펜타킬이 나왔다.

12호 펜타킬로 SuningBin이 5년 만에 TOP 펜타킬, 그것도 최초로 결승 경기에서 펜타킬을 달성하였다.

13호 펜타킬로 DWG KIAKhan이 그룹 스테이지에서 Rogue를 상대로 LCK 탑 라이너로는 최초로 펜타킬을 기록했다.

2023 월즈에서 16, 17, 18호 펜타킬이 기록됐는데 이 중 17, 18호는 하루 만에 기록되면서 1일 2펜타킬이라는 진기록이 만들어졌다.

2.5. 역대 리그 별 출전 팀[편집]


리그 별 출전 팀
리그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2023
LCK불참AZFNBSSSBSKTROXLZKTSKTDWGDKGEN
SSOSSWKOOSKTAFGRFDRXGENT1
NST1DKKT
SKTNWSKTSSGGENDWGGENHLEDRXDK
LPLWERYLEDGLGDEDGEDGRNGFPXTESEDGJDG
SHREDGRNGIGRNGJDGFPXTESBLG
IGOMGSNRNGEDGLNG
OMGIGIMWEEDGIGLGDLNGRNGWBG
LECaAaM5FNCALLFNCG2FNCG2MADRGEG2
GDESKLDFNCH2KH2KMSFVITFNCFNCFNCG2FNC
RGEFNCMAD
FNCCLG.EUGMBSKOGSPYFNCG2SPYMADRGEMADBDS
LECTCL불참DP불참FBSUPRYLSUPGSIW편입
LCSTSMC9TSMCLGTSMTLTSM100C9NRG
EGDIGTSMC9TSMCLGIMT100C9FLYTL100C9
CLGVULLMQC9CGTLC9EGTL
PCSLMS불참AHQFWFWJTMCXPSGCFOPSG
AHQMADAHQ
FWAHQ
HKAGRXHKAPSGBYGCFO
LSTPCFCTPAGABTPABKT불참GAMASCMG
XanSAJMSKAHQYG
LCO불참DWMMMLGCPCECHF합병
VCS불참PVBGAM불참GAM
LKSGBTW
LJL불참RPGDFMV3DFMDFM
LLACLSKLGISGR7INFISGR7
LLNLYNINF
CBLOL불참KBMPNGITZONEKBMFLAITZREDLLL
LCL불참GG.EU불참ANXGMBUOL불참폐지

2.6. 역대 우승팀 대회 승률 순위[편집]


순위우승 팀대회 승률출전 연도
1SK telecom T115 - 1(93.75%)2015
2Samsung Galaxy White15 - 2(88.23%)2014
3T113 - 2(86.67%)2023
4SK telecom T115 - 3(83.33%)2013
5DAMWON Gaming14 - 3(82.35%)2020
6Samsung Galaxy13 - 3(81.25%)2017
7Taipei Assassins7 - 2(77.78%)2012
Invictus Gaming14 - 4(77.78%)[15]2018
FunPlus Phoenix14 - 4(77.78%)[16]2019
10DRX19 - 7(73.08%)[17]2022
11SK telecom T114 - 6(70.0%)2016
12Fnatic9 - 4(69.23%)2011
13Edward Gaming13 - 8(61.90%)2021

2.7. 역대 우승팀 분당 골드 격차[편집]


순위우승 팀분당 골드 격차출전 연도
1Samsung Galaxy White5552014
2SK telecom T14022013
3SK telecom T13712015
4Invictus Gaming2942018
5DAMWON Gaming2792020
6T12742023
7FunPlus Phoenix2512019
8SK telecom T12302016
9Samsung Galaxy1902017
10DRX1222022
11Edward Gaming1052021


2.8. 역대 누적킬수 TOP10[편집]


누적킬수 TOP 10
순위이름소속팀(최근출전)최근출전년도포지션최고성적누적킬수비고
1Faker파일:T1 LoL 로고.svg2023파일:Mid_icon.png우승[18]446킬
2Deft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2023파일:Bot_icon.png우승405킬
3Uzi파일:RNG 로고 2017.svg2019파일:Bot_icon.png준우승[19]350킬
4Ruler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2023파일:Bot_icon.png우승335킬
5Perkz파일:Cloud9 2023 아이콘.svg2021파일:Mid_icon.png준우승316킬
6Jensen파일:Cloud9 2023 아이콘.svg2022파일:Mid_icon.png4강299킬
7Rekkles파일:Fnatic 로고.svg2020파일:Bot_icon.png준우승277킬
8Caps파일:G2 Esports 로고.svg2023파일:Mid_icon.png준우승[20]263킬
9Showmaker파일:Dplus KIA 로고.svg파일:Dplus KIA 로고(화이트).svg2023파일:Mid_icon.png우승257킬
10Sneaky파일:Cloud9 2023 아이콘.svg2019파일:Bot_icon.png4강240킬


2.9. 역대 솔로킬 횟수[편집]


솔로킬 횟수 TOP 20
순위시즌이름소속팀포지션최종성적솔로킬 횟수게임당 솔로킬 횟수
12016CuVee파일:Samsung_Galaxy.png파일:Top_icon.png준우승17게임 17회1
22014PawN파일:Samsung white.png파일:Mid_icon.png우승17게임 12회0.706
32013Faker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파일:Mid_icon.png우승[21]18게임 12회0.667
42015MaRin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파일:Top_icon.png우승[22]16게임 11회0.688
52022Zeka파일:DRX 로고(2020~2022).svg파일:Mid_icon.png우승21게임 11회[23]0.524
62019Khan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파일:Top_icon.png4강14게임 10회0.714
2022369파일:징동 게이밍 로고 2021.svg파일:Top_icon.png4강14게임 10회0.714
82018Caps파일:Fnatic.png파일:Mid_icon.png준우승17게임 10회0.588
92019Caps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Mid_icon.png준우승18게임 10회0.556
102012Shy파일:Azubu_Frostlogo_square.png파일:Top_icon.png준우승12게임 9회0.75
112014Cool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OMGlogo300.png파일:Mid_icon.png4강14게임 9회0.643
2019TheShy파일:Invictus Gaming 로고.svg파일:Invictus Gaming 로고 화이트.svg파일:Top_icon.png4강14게임 9회0.643
132020Canyon파일:DWG_square.png파일:Jungle_icon.png우승[24]17게임 9회0.529
142021Khan파일:DWG KIA 엠블럼.svg파일:Top_icon.png준우승19게임 9회0.474
152021Ale파일:LNG Esports 로고 2019.svg파일:Top_icon.png그룹7게임 8회[25]1.143
162016Impact파일:Cloud9 로고.svg파일:Top_icon.png8강9게임 8회0.889
172015westdoor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123px-Ahq_e-Sports_Club_logo.png파일:Mid_icon.png8강10게임 8회0.8
182018Perkz파일:G2 Esports 로고.svg파일:Mid_icon.png4강15게임 8회0.533
192015Smeb파일:external/oi67.tinypic.com/2qams1e.png파일:Top_icon.png준우승17게임 8회0.471
202014U파일:external/lol.esportspedia.com/EDG_logo_no_background.png파일:Mid_icon.png8강12게임 7회0.583
2015Faker파일:SK Telecom T1 로고(2005~2019).svg파일:Mid_icon.png우승12게임 7회0.583


2017 시즌의 솔로킬 기록이 순위권에 없다. 특히 2017년도 롤드컵 당시의 경우 바텀 원딜쪽으로 극단적으로 캐리력이 치중된 불타는 향로 메타였었고, 솔로킬 역시도 극히 드물었다. 심지어 WE의 미드 라이너 Xiye가 기록한 5회의 솔로킬이 당시 1위의 기록으로 남아있다.


2.10. 역대 6회 이상 출전 선수[편집]


6회 이상 출전한 선수
이름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2023
8회
Doublelift4위12강--그룹그룹그룹그룹그룹그룹-
Faker우승-우승우승준우승-4강-4강준우승우승
Deft-4강8강8강-8강-8강8강우승스위스
Jensen--그룹8강8강4강그룹그룹그룹그룹-
7회
Sneaky-8강8강그룹8강8강4강그룹
Impact-우승--8강8강그룹그룹그룹-그룹-
Maple8강-8강그룹그룹그룹--그룹-플레이-인
CoreJJ---준우승우승그룹그룹그룹그룹-스위스
Karsa-8강그룹그룹8강그룹4강--준우승
Xiaohu--8강4강8강그룹-8강8강준우승
Ruler준우승우승그룹-8강4강4강4강
6회
sOAZ준우승-4강그룹4강-8강준우승--
Clearlove8강-8강8강8강그룹8강---
Xmithie-그룹-그룹그룹그룹그룹그룹-
Uzi준우승준우승-8강4강8강그룹--
SwordArt8강-8강그룹그룹그룹-준우승---
Rekkles-그룹4강-8강준우승8강8강---
Meiko-8강8강그룹8강--우승8강-
Zven-4강그룹그룹---8강그룹스위스
Perkz--그룹그룹4강준우승4강8강--
Hylissang----준우승8강8강그룹그룹스위스
Scout8강그룹8강--우승8강8강
Caps-8강준우승준우승4강-그룹스위스

6회 이상 출전 선수중에서 출전한 모든 해에 4강 이상의 진출을 기록했던 선수로는 Faker가 유일하다. 그리고 롤드컵 역대 최다 출전 기록을 가진 선수는 8회 출전한 Faker, Deft, Doublelift, Jensen이고, 최장 연속 출전 기록은 8회인 Jensen이 달성했다.

2024년 롤드컵 진출 성공 시 6회가 되는 선수로는 피넛, 쵸비, 유타폰, 쇼메이커, 캐니언, 얀코스, 밍, 스틸, 휴머노이드, 블래버, 원더가 있다.

2.11. 역대 6회 이상 출전 팀[편집]


6회 이상 출전한 팀
2011201220132014201520162017201820192020202120222023비고
파일:Fnatic 로고.svg
FNC
우승-4강그룹4강-8강준우승8강8강그룹그룹스위스11회
[최다][LEC]
파일:Cloud9 2023 아이콘.svg
C9
8강8강그룹8강8강4강그룹-8강그룹스위스10회
[LCS]
파일:Gen.G 로고 심플.svg
GEN[26]
-14강우승[27]-준우승우승그룹-8강4강4강8강9회
[LCK]
파일:TSM_Logo.png
TSM
4강8강12강8강그룹그룹그룹--그룹---8회
파일:T1 LoL 로고.svg
T1
우승-우승우승준우승-4강-4강준우승우승8회
파일:Edward Gaming 로고 2017.svg
EDG
8강8강8강그룹8강--우승8강-7회
[LPL]
파일:G2 Esports 로고.svg
G2
--그룹그룹4강준우승4강-그룹스위스7회
파일:RNG 로고 2017.svg
RNG
-8강4강8강그룹-8강8강-6회
파일:매드 라이온즈 로고 2023.svg
MAD
그룹--8강플레이-인8강플레이-인스위스6회

2.12. 역대 그룹•스위스 스테이지 전승/전패 팀[편집]


그룹•스위스 스테이지 전승/전패 팀
시즌전승팀소속전적최종 성적전패팀소속전적
2011A조Epik GamerNA #23승4위Pacific eSports필리핀 #13패
2012A조Azubu FrostLCK #13승준우승SK GamingEU #23패
B조NaJin SwordLCK #23승8강Dignitas북미 #23패
2013B조없음MineskiGPL #18패
2014[28]A조Samsung Galaxy WhiteLCK #26승우승Dark Passage터키 #16패
2015C조SK telecom T1LCK #16승우승Bangkok Titans동남아 #16패
2016-없음없음
2017B조Longzhu GamingLCK #16승8강없음
C조없음1907 FenerbahçeTCL #16패
2018C조없음MAD TeamLMS #26패
D조없음G-RexLMS #36패
2019A조없음Hong Kong AttitudeLMS #36패
C조없음Clutch GamingLCS #36패
D조없음ahq eSports ClubLMS #26패
2020C조없음Team SoloMidLCS #16패
D조없음Unicorns Of LoveLCL #16패
2021A조DWG KIALCK #16승준우승없음
B조없음DetonatioN FocusMeLJL #16패
2022-없음없음
2023Gen.GLCK #14승8강Team BDSLEC#44패

그룹 스테이지가 6판 제도로 변경된 이후 전승을 기록한 팀은 14 SSW, 15 SKT, 17 LZ, 21 DK 단 4팀밖에 없다. 4대 메이저 리그 최초 전패팀은 19 CG가 있고 4대 메이저 리그 1시드 최초 전패팀은 20 TSM이 있다.

2023년부터는 조별리그가 스위스 스테이지로 변경되며 전승 달성 시 최대 승수는 4승 0패가 되었고 23 젠지가 최초로 달성하였다.


2.13. 역대 풀세트 다전제[편집]


시즌3 8강 이후 4강부터는 모두 5판 3선승제의 토너먼트 경기들이 펼쳐졌다. 2022 월즈까지 5세트까지 3:2 경기가 펼쳐진 다전제, 일명 실버 스크랩스 경기 기록이다.

순서경기승리팀결과패배팀
1시즌3 4강 1경기SK telecom T1×○×○○Najin Black Sword
22014 8강 4경기Star Horn Royal Club○○××○EDward Gaming
32014 4강 2경기×○○×○Oh My God
42016 4강 1경기SK telecom T1○××○○ROX Tigers
52016 결승○○××○Samsung Galaxy
62017 8강 2경기○××○○Misfits
72017 8강 4경기Team WE○××○○Cloud9
82017 4강 1경기SK telecom T1×○×○○Royal Never Give Up
92018 플레이-인 2라운드 1경기Cloud9○×○×○Gambit Esports
102018 8강 1경기Invictus Gaming○○××○kt Rolster
112018 8강 2경기G2 Esports×○×○○Royal Never Give Up
122019 플레이-인 2라운드 4경기Splyce×○○×○Unicorns of Love
132020 플레이-인 녹아웃 1라운드 2경기Papara SuperMassive○×○×○MAD Lions
142020 8강 3경기Top Esports××○○○Fnatic
152021 플레이-인 녹아웃 1라운드 1경기Beyond Gaming××○○○Galatasaray Esports
162021 플레이-인 녹아웃 1라운드 2경기PEACE×○○×○RED Kalunga
172021 8강 2경기Edward Gaming×○○×○Royal Never Give Up
182021 4강 1경기DWG KIA○××○○T1
192021 4강 2경기Edward Gaming○××○○Gen.G
202021 결승○××○○DWG KIA
212022 8강 3경기Gen.G○○××○DWG KIA
222022 8강 4경기DRX××○○○Edward Gaming HYCAN
232022 결승×○×○○T1
242023 플레이-인 최종 진출전 2경기Team BDS××○○○PSG Talon
252023 8강 2경기Bilibili Gaming Pingan Bank○○××○Gen.G
262023 4강 1경기Weibo Gaming Faw Audi○×○×○Bilibili Gaming Pingan Bank

2.14. 역대 퍼펙트 게임[편집]


순서달성 팀스코어상대 팀일자경기
경기 시간타워드래곤전령바론
1Samsung Galaxy White23:2815:06:03:0-0:0Dark Passage2014.09.192014 Worlds 16강 A조 5경기
2Alliance39:3314:010:04:0-2:0NaJin White Shield2014.09.272014 Worlds 16강 D조 9경기
3Longzhu Gaming20:485:08:01:01:00:0Fnatic2017.10.082017 Worlds 그룹 스테이지 B조 6경기


2.14.1. 역대 킬 스코어 퍼펙트 경기[편집]


퍼펙트 게임 조건인 드래곤, 전령, 바론, 타워를 상대팀에게 하나 이상 내줬어도 상대팀의 킬 스코어가 0인 게임을 말하며, 만약 드래곤, 전령, 바론, 타워를 모두 내주지 않았을 경우 킬 스코어 퍼펙트 경기와 동시에 자동으로 위에 있는 퍼펙트 게임이 성립된다.

순서일자경기블루 팀킬스코어레드 팀경기 시간퍼펙트 게임 달성여부
12012.10.112012 Worlds 4강 2세트Azubu Frost13 : 0Counter Logic Gaming Europe⁠30:02X(타워)
22014.09.092014 Worlds 16강 A조 5경기Dark Passage0 : 15Samsung Galaxy White⁠23:28퍼펙트 게임 1호
32014.09.292014 Worlds 16강 D조 9경기Alliance14 : 0NaJin White Shield⁠39:33퍼펙트 게임 2호
42017.09.242017 Worlds Play-In B조 4경기Team oNe eSports0 : 14Cloud9⁠22:15X(타워)
52017.10.062017 Worlds Group Stage D조 2경기Team WE9 : 0Misfits Gaming26:55X(타워)
62017.10.072017 Worlds Group Stage D조 4경기Flash Wolves0 : 12Misfits Gaming46:47X(타워, 드래곤)
72017.10.072017 Worlds Group Stage C조 3경기G2 Esports8 : 0Fenerbahçe32:03X(드래곤)
82017.10.072017 Worlds Group Stage C조 4경기Samsung Galaxy0 : 11Royal Never Give Up27:34X(타워)
92017.10.082017 Worlds Group Stage B조 6경기Fnatic0 : 5Longzhu Gaming⁠⁠20:48퍼펙트 게임 3호
102017.11.042017 Worlds 결승전 1세트Samsung Galaxy7 : 0SK Telecom T137:23X(타워, 바론)
112018.10.032018 Worlds Play-In C조 타이브레이크DetonatioN FM7 : 0KaBuM! e-Sports24:06X(타워, 드래곤, 전령)
122020.10.032020 Worlds Group Stage C조 1경기Rogue16 : 0PSG Talon⁠⁠28:42X(타워, 드래곤)
122023.10.222023 Worlds Swiss Stage 3라운드 1-1 1경기T115 : 0Cloud9⁠⁠22:25X(타워)

2.15. 경기 관련 기록[편집]









2.15.1. 역대 최장 다전제 순위[편집]


2022 월즈 결승전까지를 기준으로 역대 가장 긴 경기시간을 가진 다전제 1~5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경기경기 시간승리팀패배팀
12016 결승전252분 39초SK telecom T1Samsung Galaxy
22016 4강 1경기201분 43초SK telecom T1ROX Tigers
32022 8강 4경기196분 2초DRXEdward Gaming HYCAN
42014 4강 2경기188분 7초Star Horn Royal ClubOh My God
52019 플레이-인 스테이지 2라운드 2일차 2경기187분 37초SplyceUnicorns of Love
62022 결승전180분 25초DRXT1
72021 결승전178분 26초Edward GamingDWG KIA
82017 8강 4경기177분 26초Team WECloud9

2.15.2. 역대 최단 다전제 순위[편집]


2022 월즈 결승전까지를 기준으로 역대 가장 짧은 경기시간을 가진 다전제 1~5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경기경기 시간승리팀패배팀
12021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 2라운드 2경기75분 5초Cloud9PEACE
22021 플레이-인 녹아웃 스테이지 2라운드 1경기77분 17초Hanwha Life EsportsBeyond Gaming
32018 플레이-인 스테이지 2라운드 1일차 2경기80분 39초Edward GamingDetonatioN FocusMe
42014 4강 1경기83분 54초Samsung Galaxy WhiteSamsung Galaxy Blue
52017 플레이-인 스테이지 2라운드 4경기84분 3초Team WEYoung Generation

2.16. 역대 월즈 챔피언 밴픽 기록[편집]






상세 기록(펼치기 / 닫기)
최초 챔피언 17인 및 동시 출시 챔피언들의 순서는 나무위키 서술 순서에 따라 기록하였다.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2011.06.18) 시작 이전 출시 챔피언들
순서챔피언출시일첫 밴첫 픽
날짜사용자승패
1누누와 윌럼프2009.02.212011.06.182011.06.18
2경기
Cyanide
2라이즈2009.02.212014.09.182012.10.05
2경기
SSONG
3마스터 이2009.02.21----
4모르가나2009.02.212012.10.052012.10.05
5경기
NIXWATER
5사이온2009.02.212017.10.082011.06.20
패자 결승 2세트
YellOwStaR
6소라카2009.02.212011.06.182011.06.18
1경기
Kujaa
7시비르2009.02.212012.10.042013.09.21
8경기
Puszu
8알리스타2009.02.212011.06.182011.06.18
2경기
Shushei
9애니2009.02.212011.06.182011.06.18
1경기
Salce
10애쉬2009.02.212011.06.182011.06.18
3경기
YellOwStaR
11워윅2009.02.212011.06.192011.06.18
1경기
Dan Dinh
12잭스2009.02.212012.10.042012.10.04
1경기
Shy
13케일2009.02.212014.09.182013.09.28
4강 2경기 4세트
Wh1t3zZ
14트리스타나2009.02.212014.09.192011.06.18
9경기
CandyPanda
15트위스티드 페이트2009.02.212011.06.182011.06.18
2경기
iddo
16티모2009.02.21-2011.06.20
패자 준결승 2세트
TheRainMan
17피들스틱2009.02.212013.09.182013.09.15
1경기
Xpecial
18신지드2009.04.182011.06.192011.06.18
1경기
Dyrus
19질리언2009.04.182011.06.182011.06.19
5,6위전
bigfatlp
20이블린2009.05.012012.10.042012.10.05
8강 1경기 1세트
Alex Ich
21트린다미어2009.05.012021.10.052013.09.21
15경기
Nbs
22트위치2009.05.012013.09.282013.09.21
3경기
WildTurtle
23카서스2009.06.122011.06.182011.06.18
1경기
MoMa
24아무무2009.06.262011.06.182011.06.18
1경기
Linak
25초가스2009.06.262012.10.062011.06.18
7경기
TheRainMan
26람머스2009.07.102014.09.272011.06.20
결승전 2세트
Cyanide
27애니비아2009.07.102011.06.182011.06.18
3경기
MoMa
28베이가2009.07.242015.10.012013.09.21
14경기
Bigpomelo
29카사딘2009.08.072013.09.152011.06.18
11경기
Kev1n
30갱플랭크2009.08.192012.10.042011.06.19
5,6위전
Saintvicious
31타릭2009.08.192011.06.192011.06.18
2경기
gibo
32말파이트2009.09.022012.10.052012.10.04
6경기
Pdd
33문도 박사2009.09.022017.09.232011.06.19
P.O 1경기 1세트
Chauster
34블리츠크랭크2009.09.022012.10.062011.06.19
준결승 2경기 2경기
Doublelift
35잔나2009.09.022011.06.182011.06.18
1경기
Doublelift
36카타리나2009.09.192012.10.052012.10.05
4경기
scarra
37코르키2009.09.192011.06.182011.06.18
2경기
Lamia
38나서스2009.10.012017.10.132013.09.15
6경기
Sycho Sid
39샤코2009.10.10-2021.10.16
5경기
Steal
40하이머딩거2009.10.102018.10.012018.10.06
2라운드 2경기 1세트
Ceros
41우디르2009.12.02-2012.10.04
6경기
Araneae
42니달리2009.12.172011.06.182011.06.18
5경기
sOAZ
43뽀삐2010.01.132016.10.032011.06.18
4경기
vy
44그라가스2010.02.022011.06.202011.06.18
3경기
sOAZ
45판테온2010.02.022019.10.022014.09.20
5경기
Crystal
46모데카이저2010.02.242011.06.182011.06.18
7경기
Vech
47이즈리얼2010.03.162012.10.042012.10.04
1경기
Woong
482010.03.242012.10.042012.10.04
1경기
CloudTemplar
49케넨2010.04.082013.09.152013.09.15
3경기
Gogoing
50가렌2010.04.272019.10.182011.06.18
2경기
vy
51아칼리2010.05.112011.06.182011.06.18
6경기
Westrice
52말자하2010.06.012016.10.082011.06.18
2경기
wewillfailer
53올라프2010.06.092012.10.042012.10.04
5경기
Voyboy
54코그모2010.06.242012.10.052012.10.05
1경기
yellowpete
55신 짜오2010.07.132018.10.022012.10.05
8강 1경기 1세트
Darien
56블라디미르2010.07.272011.06.182011.06.18
4경기
Salce
57갈리오2010.08.102017.09.232014.10.11
4강 1경기
Acorn
58우르곳2010.08.242017.10.122011.06.18
4경기
iddo
59미스 포츈2010.09.082016.10.222011.06.18
1경기
YellOwStaR
60소나2010.09.212011.06.182011.06.18
3경기
Kujaa
61스웨인2010.10.052018.10.152011.06.18
6경기
wewillfailer
62럭스2010.10.192012.10.042011.06.19
5,6위전
Reyk
63르블랑2010.11.022015.10.032015.10.01
3경기
Ryu
64이렐리아2010.11.162011.06.182011.06.18
1경기
sOAZ
65트런들2010.12.012016.10.032011.06.18
5경기
dabe
66카시오페아2010.12.142016.10.012012.10.04
2경기
bigfatlp
67케이틀린2011.01.042013.09.152011.06.18
7경기
Chaox
68레넥톤2011.01.182013.09.152013.09.15
1경기
Nbs
69카르마2011.02.012016.09.302013.09.21
10경기
Kaigu
70마오카이2011.02.162012.10.052012.10.04
5경기
CloudTemplar
71자르반 4세2011.03.012011.06.182011.06.18
6경기
Cyanide
72녹턴2011.03.152011.06.182011.06.18
7경기
Radeon6870
73리 신2011.04.012012.10.052011.06.18
6경기
Doublelift
74브랜드2011.04.122016.09.302011.06.18
3경기
Shushei
75럼블2011.04.262011.06.182011.06.18
12경기
bigfatlp
76베인2011.05.102011.06.182011.06.18
1경기
Westrice
77오리아나2011.06.012012.10.042012.10.04
4경기
bigfatlp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1 챔피언십(2011.06.18) 시작 이후 출시 챔피언들
순서챔피언출시일첫 밴첫 픽
날짜사용자승패
78요릭2011.06.222012.10.042012.10.04
2경기
Pdd
79레오나2011.07.082013.09.202012.10.04
1경기
XiaoXiao
80오공2011.07.262020.09.292020.09.26
6경기
Armut
81스카너2011.08.092012.10.042012.10.04
2경기
illuSioN
82탈론2011.08.242021.10.052014.09.19
4경기
PawN
83리븐2011.09.14-2012.10.11
준결승 2경기 3세트
Wickd
84제라스2011.10.05-2014.09.19
2경기
Naru
85그레이브즈2011.10.192017.10.122012.10.04
2경기
Doublelift
86쉬바나2011.11.012012.10.052012.10.05
1경기
IWillDominate
87피즈2011.11.152013.09.152013.09.15
3경기
Reginald
88볼리베어2011.11.292019.10.182013.09.21
5경기
LoveLin
89아리2011.12.132012.10.112012.10.11
준결승 2경기 2세트
RapidStar
90빅토르2011.12.292015.10.112015.10.01
1경기
Rookie
91세주아니2012.01.172017.09.232017.09.23
4경기
shernfire
92직스2012.02.012013.09.212014.09.21
5경기
Jesiz
93노틸러스2012.02.142018.10.172015.10.25
4강 2경기 1세트
YellOwStaR
94피오라2012.02.292015.10.022015.10.01
3경기
MaRin
95룰루2012.03.202014.09.182012.10.04
2경기
Chauster
96헤카림2012.04.182018.10.062013.09.21
15경기
TheOddOne
97바루스2012.05.082015.10.022013.09.17
4경기
Exo
98다리우스2012.05.232015.10.012012.10.05
1경기
Crumbzz
99드레이븐2012.06.052012.10.042015.10.08
6경기
brTT
100제이스2012.07.072012.10.042012.10.04
4경기
Kev1n
101자이라2012.07.242013.09.152012.10.05
8강 1경기 1세트
GoSu Pepper
102다이애나2012.08.072012.10.052012.10.04
2경기
Voyboy
103렝가2012.08.212014.09.182014.09.18
6경기
inSec
104신드라2012.09.132014.09.182013.09.21
5경기
Cool
105카직스2012.09.272014.09.252014.09.18
1경기
Dandy
106엘리스2012.10.262013.09.152013.09.15
3경기
Impact
107제드2012.11.132013.09.152013.09.15
1경기
Reginald
108나미2012.12.072014.09.202013.09.15
5경기
PoohManDu
109바이2012.12.192013.09.152013.09.15
3경기
TheOddOne
110쓰레쉬2013.01.232013.09.152013.09.15
1경기
Inspirro
1112013.03.012019.10.032019.10.03
2경기
3Z
112자크2013.03.292013.09.212013.09.15
4경기
Zorozero
113리산드라2013.04.302013.09.282013.09.15
6경기
xPeke
114아트록스2013.06.132013.09.152013.09.15
3경기
LoveLin
115루시안2013.08.222014.09.182014.09.18
1경기
NaMei
116징크스2013.10.102014.09.252014.09.18
5경기
GarnetDevil
117야스오2013.12.132014.09.182014.09.18
2경기
Bjergsen
118벨코즈2014.02.272018.10.012018.10.03
2경기
Titan
119브라움2014.05.122015.10.012014.09.20
1경기
Touch
120나르2014.08.142015.10.022015.10.01
3경기
Odoamne
121아지르2014.09.162015.10.012015.10.01
1경기
Febiven
122칼리스타2014.11.202015.10.012015.10.01
2경기
AN
123렉사이2014.12.112015.10.012015.10.01
4경기
007x
124바드2015.03.122016.09.302015.10.03
5경기
Kitties
125에코2015.05.282016.10.232015.10.01
5경기
Maple
126탐 켄치2015.07.092015.10.042015.10.03
6경기
Albis
127킨드레드2015.10.142018.10.012016.10.30
결승전 2세트
Ambition
128일라오이2015.11.24----
1292016.02.012016.10.012016.09.30
1경기
Zven
130아우렐리온 솔2016.03.242016.09.302016.10.03
4경기
Huhi
131탈리야2016.05.182017.09.252017.09.24
1경기
Marf
132클레드2016.08.102019.10.052016.09.30
5경기
Wunder
133아이번2016.10.062017.10.082017.10.05
2경기
Trick
134카밀2016.12.072017.09.242017.09.23
3경기
PvPStejos
135자야2017.04.192017.09.232017.09.23
1경기
Mystic
136라칸2017.04.192017.09.232017.09.23
2경기
Smoothie
137케인2017.07.122017.09.232017.09.23
5경기
Diamondprox
138오른2017.08.232018.10.012018.10.01
2경기
PvPStejos
139조이2017.11.212018.10.012018.10.03
1경기
Kira
140카이사2018.03.072018.10.012018.10.01
1경기
Sneaky
141파이크2018.05.312018.10.012018.10.01
1경기
Riyev
142니코2018.12.052019.10.042019.10.02
1경기
BOSS
143사일러스2019.01.252019.10.122019.10.03
1경기
Cyeol
144유미2019.05.152019.10.022019.10.05
3경기
BeryL
145키아나2019.06.282019.10.022019.10.03
1경기
Closer
146세나2019.11.102020.09.252020.09.25
2경기
Dee
147아펠리오스2019.12.112020.10.152020.09.28
4경기
Zeitnot
148세트2020.01.142020.09.252020.09.25
2경기
Uniboy
149릴리아2020.07.232020.09.252020.09.25
4경기
Peanut
150요네2020.08.062021.10.052021.10.06
5경기
Maoan
151사미라2020.09.212022.10.032022.10.02
7경기
Holyphoenix
152세라핀2020.10.302021.10.072021.10.31
4강 2경기 1세트
Bdd
1532020.12.102021.10.132021.10.07
4경기
Vulcan
154비에고2021.01.212021.10.112021.10.09
3라운드 1경기 2세트
Husha
155그웬2021.04.162021.10.052021.10.05
8경기
Crazy
156아크샨2021.07.23----
157벡스2021.09.242022.10.042022.10.02
3경기
Yaharong
158제리2022.01.212023.10.262023.10.15
플레이 인 최종진출전 2경기 1세트
Crownie
159레나타 글라스크2022.02.182022.10.012022.10.01
3경기
Taki
160벨베스2022.06.102022.10.052022.10.03
5경기
Elyoya
161닐라2022.07.142022.10.052022.09.30
8경기
GALA
162크산테2022.11.042023.10.102023.10.10
플레이 인 A조 1경기 2세트
Bong
163밀리오2023.03.23-2023.10.29
스위스 2-2 2경기 1세트
Trymbi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7:09:50에 나무위키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역대 기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월드 챔피언십은 시즌 2부터 따로 3, 4위 결정전을 시행하지 않는다. 시즌 1은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되어 3, 4위가 구분되었다.[2] 우승 당시 GPL 소속, 2015 시즌부터 LMS 소속이었고 2020 시즌부터 PCS 소속.[3] 2013 서머~시즌 3 월즈까지 SK telecom T1이라는 팀명을 사용했다. SK telecom T1 K라는 팀명은 월즈가 끝나고 윈터부터 사용했다. [4] 월즈 8강은 한 대회에 같은 리그의 최대 네 팀까지 진출 가능하므로 회가 아닌 팀으로 표기[5] GPL, LMS, LST 시절 기록 포함[6] 우승 당시 리그는 홍콩+마카오+동남아시아를 포함한 GPL 소속이었다.[7] RNG 자체적으로 명예의 전당을 여는 등 과거 준우승 경력이 있는 Royal Club-Star Horn Royal Club의 계승팀임을 명목으로 삼고 있지만 오히려 대회를 주관하는 라이엇에서는 서로 완전히 다른 팀으로서 간주하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8] 현재 Royal ClubRNG의 2군 팀으로 존재하기에 엄밀하게는 LDL 소속이다.[9] 현재로써 LEC 그 당시를 기준으로는 EU, 더 정확하게 나누면 약칭 LFL(La Ligue Française)이라 불리는 프랑스의 유럽 소속 2부 리그.[10] 공식적인 MVP는 없으나 라이엇의 각종 행사나 영상 등에서는 암묵적으로 우승팀 미드 라이너였던 토이즈와 페이커가 MVP로 대우받고 있다.[11] 탑 라이너 역시 8년 연속 한국인이었으나 2021 시즌에 EDG가 DWG KIA를 무너뜨리고 우승하여 연속기록이 깨지게 되었다.[12] 트리스타나 - 브라움 - 럼블 순.[13] 카직스 - 피즈 순.[14] 궁극기로 진을 가둬놓고 적당히 양념만 친 뒤에 펜타킬 먹으라고 아예 궁 범위 외곽으로 빠졌다.[15] 순위 결정전 제외 시 14-3, (82.35%)[16] 순위 결정전 제외 시 13-4, (76.47%)[17] 순위 결정전 제외 시 18-7, (72.0%) / 플레이-인 스테이지 제외 시 14-7, (66.67%) / 순위 결정전 및 플레이-인 스테이지 제외 시 13-7, (65.0%)[18] 4회[19] 2회[20] 2회[21] 역대 월즈 최다 솔로킬 30회# [22] 통합 MVP[23] 본선만의 기록이며, 플레이-인 기록 합산 시 26경기 16킬[24] 결승 MVP[25] 본선만의 기록이며, 플레이-인 기록 합산 시 11경기 17킬[최다] 최다 출전팀.[LEC] LEC 최다 출전팀.[LCS] LCS 최다 출전팀.[26] 전신 팀인 Samsung Galaxy의 기록도 포함. 형제팀(SSW, SSB) 동반 진출한 2014 시즌은 1번으로 기록[27] Samsung Galaxy White의 기록, Samsung Galaxy Blue는 4강.[LCK] LCK 최다 출전팀.[LPL] LPL 최다 출전팀.[28] 2014 시즌부터 그룹 스테이지가 6승이 전승이 되었다.

관련 문서